화재경보 발생 원리

화재 경보가 발생하는 것은 화재 감지기가 스위치 역할을 하여 수신기의 화재 경보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형광등 스위치를 켜면 형광등에 불이 들어와 실내가 밝아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가 연기나 열을 감지하면 감지기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감지기의 접점이 CLOSE되고, 전류가 감지기를 통해 흐르게 됩니다. 이때, 감지기의 저항(400Ω)과 종단저항(10㏀)이 병렬로 연결되는 상황이 되어, 감지기 저항과 종단저항의 합성저항값은 각 저항의 역수를 더한 값의 역수가 되어 매우 작아지게 됩니다. 이에 상응하여 감지기 회로의 전류 흐름은 증가하지만, 합성저항값이 전류의 증가량보다 훨씬 더 많이 작아지므로, 감지기 회로의 전압은 오옴의 법칙 (전압 = 전류 × 저항)에 의해 감시 상태 때보다 현저히 낮아지게 됩니다.

감지기 작동 원리

화재 발생 시, 감지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작동됩니다:

전기적 원리 설명

화재 감지 시스템의 전기적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로 구성: 감지기들은 회로 내에서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
  2. 저항값 변화: 감지기가 작동하면, 회로는 감지기 자체 저항과 종단저항이 병렬로 연결되는 상황이 되어 감지기 회로의 저항값이 급격히 낮아짐. (병렬 저항 값 = 각 저항의 역수를 더한 값의 역수)
  3. 전압 강하: 오옴의 법칙 (V = I × R, V: 전압, I: 전류, R: 저항)에 따라 저항(R)이 감소하면 전압(V)이 감소.

이러한 전압 변화는 수신기에 의해 감지되어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트리거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 특성을 이해하고 경험적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화재 감지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 요소입니다.

감지기 회로 전압 상태

감지기 회로 전압별 화재 / 비화재 판단 기준

전압 범위 상태 경보(수신기) 화재 / 비화재 판단 발생 원인
0 ~ 1.9V (단락) 단락 화재/지구 표시등 점등
주/지구 경종 경보 발령
연동 소화설비 작동
발신기(응답) 표시등 미점등
비화재 감지기 회로의 단락(감지기 교체 오류, 실내 시설물 교체 등 주변 공사 시 부주의 등)
2 ~ 7.9V (감지기 작동) 정상 화재/지구 표시등 점등
주/지구 경종 경보 발령
연동 소화설비 작동
작동 감지기 LED 점등
대부분 4 ~ 4.5 V에 집중
화재·비화재 화재에 의한 감지기의 정상 작동
화재로 오인되는 환경 조성에 따른 감지기의 정상적 작동(담배, 조리, 난방, 먼지, 모기향, 불장난, 스프레이, 수증기 등)
8 ~ 16.9V (저전압) 저전압 화재/지구 표시등 점등
주/지구 경종 경보 발령
연동 소화설비 작동
수신기 제조사마다 저전압에 의한 경보 발생 전압 상이
비화재 구형 노후 감지기의 전압 강하(베이스에 작동 표시등 부착된 것)
불량 감지기에 의한 전압 강하
누수(결로)에 의한 전압 강하
배선 불량(누전, 오결선, 절연불량)
단자대 부식에 의한 전압 강하
연기 감지기 과다 설치 전압 강하(제조사 권장: 회로당 10개 이하 설치)
23 V 이상 단선 해당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 시 경보 불가
연동 소화설비 작동 불가
화재에 무방비 노출
비화재 감지 회로의 단선(소방공사 및 인테리어 공사 등)
감지기 및 단자대 접촉 불량
뒤로 가기
미리24 TV 미리24 설치사례 공지사항 미리24 매거진